날이 더워지고 습해지면 피부과에 가장 많이 찾아오는 환자가 무좀 환자라고 합니다.
인구의 40%가 앓고 있다는 무좀은 손, 발, 발톱, 손톱 등에도 생길수 있다고 합니다.
무좀(백선증)이란?
몸, 피부에 피부사상균, 진균이 감염되서 생기는 증상입니다. 간단히 말하면 피부에 곰팡이가 감염된 것입니다.
곰팡이에 감염되는 이유는?
곰팡이가 좋아하는 환경은 고온, 다습한 환경입니다. 온도가 올라가고 습도가 높은 곳에 곰팡이가 잘 생기게 됩니다.
그렇다면 우리 몸에서 가장 고온다습한 곳은 어디일까요? 아침에 신발을 신으면 하루종일 신발을 신고있는 발입니다.
일반적으로 노출된 부위는 곰팡이가 생기기 어렵습니다. 하지만 노출된 부위에 곰팡이가 생겼다면 몸의 면역력이 떨어지면서 기저질환이 동반된 경우라고 생각하셔야 됩니다. 이런 경우 내과적인 면역 치료가 필요합니다.
무좀
무좀균은 발바닥에 있는 각질을 먹고 삽니다. 발에 있던 무좀균이 발톱으로 올라가게 되면서 발톱을 파먹게 됩니다. 이 증상은 조갑진균증이라고 합니다. 손톱이나 발톱에 무좀균이 생기게 되면 바르는 약으로는 투약이 잘 되지 않아 치료하기 굉장히 까다로워집니다. 이럴때는 항진균제를 먹으면서 치료를 해야합니다.
무좀 증상
무좀의 증상은 다양합니다. 발가락 사이가 짓무르기도 하고 하얗게 뜨고 갈라지고 각질이 벗겨지는 증상을 보이게 됩니다. 또한 발냄새를 유발하기도 하고 가려움증이 동반되며 각질이 두꺼워지고 하얗게 떨어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치료
향진균제
곰팡이를 선택적으로 죽일 수 있는 약들이 본격적으로 개발되기 시작하면서 치료가 충분히 가능합니다.
먹는 약
곰팡이의 세포막을 구성하는 성분을 파괴시키는 약 성분이 있습니다. 이 약은 사람 몸에 간세포의 대사과정 중에서도 똑같은 관여를 하게 됩니다. 그래서 간독성이 있는 경우가 있었습니다. 하지만 최근에 나온 약들은 간독성 문제도 대부분 다 해결이 되있어서 일반적으로 간에 기저질환이 없는 사람이라면 먹는 약을 복용하는데 큰 문제는 없다고 합니다.
바르는 약
각질을 깊숙하게 투과할 수 있는 투과력이 높아진 바르는 약도 굉장히 많이 나왔습니다.
하지만 무좀균은 쉽게 사라지지 않기 때문에 단기간에 치료되지 않습니다. 발바닥의 경우 6개월, 발톱의 경우 최대 1년까지도 길게 치료해야 무좀균이 완치된다고 합니다. 먹고 바르는 약을 꾸준하게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무좀 예방하는 방법
건조하게 한다.
출근 후에는 슬리퍼를 신어주는 것이 좋습니다.
발을 하루 1회 이상 깨끗하게 씻고 발가락 사이사이 통풍이 잘 되게 해서 건조시켜야 합니다. 또한 발을 닦은 후에도 물기를 완전히 제거해주고 양말을 신는 것이 좋습니다. 무좀균은 고온다습한 환경에서 쉽게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건강 관리 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치통 원인과 응급 대처 방법 (0) | 2022.04.20 |
---|---|
면역력을 높여주는 봄 제철 음식 (0) | 2022.04.19 |
백내장 원인, 증상과 치료방법 (0) | 2022.04.17 |
여드름 생기는 원인 및 치료방법 (0) | 2022.04.16 |
블랙데이 짜장면 건강하고 맛있게 먹는 방법 (0) | 2022.04.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