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관리 꿀팁

혈뇨의 원인과 증상

by 대모리 2023. 5. 7.

혈뇨란?

혈뇨는 말 그대로 소변에서 피가 검출되는 증상입니다. 보통 눈으로 보이는 심한 붉은색 소변으로 병원을 찾아갑니다. 사실은 눈으로 보이는 혈뇨뿐만 아니라 눈으로 보이지 않는 혈뇨가 더 중요합니다. 즉 건강검진에서 우연히 발견된 현미경 상 혈뇨조차도 혈뇨라는 것 자체가 심각하고 매우 고민할 것이 많습니다. 혹시라도 눈으로 보이는 빨간색 소변이 나오면 즉시 소변 검사를 하러 가야 합니다. 혈뇨에는 워낙 여러 가지 질병이 숨겨 있을 수 있고 특히나 고령의 환자에게서는 가끔씩만 나오는 혈뇨더라도 암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무조건 혈뇨가 발견되면 소변 검사부터 실시해야 합니다. 혈뇨 때문에 소변검사를 했는데 혈뇨가 아니라고 나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소변이 붉게 나오는 소변에 피가 있기 때문입니다. 피가 붉은 이유는 핏속에 RBC라는 세포 때문입니다. 그런데 소변이 붉은 색인데 피, RBC가 있지 않고도 붉은색인 경우가 있습니다. 바로 약물이나 음식 때문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결핵약, 소염진통제, 항생제를 먹는 경우에도 일시적으로 소변이 붉은색으로 보일 수 있고 특이하게 사탕무라든가 빨간색 색소가 들어있는 음식을 먹은 경우가 소변이 붉게 나올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약이나 음식을 피하고 난 후 소변의 상태를 보고 그 후로도 계속 붉게 나오는데 소변 검사는 음성, 즉 RBC가 검출되지 않는다면 다른 여러 가지 질환 가능성이 충분히 있기 때문에 이 또한 추가로 정밀 검사가 필요합니다.

세 가지 이유

혈뇨가 일시적으로 나오는 경우, 환자가 아무 증상이 없고 신체 건강한 40세 이전에 환자라면 혹시 생리 중인지 혹은 과한 운동을 했는지 아니면 성관계를 한지가 얼마 안 됐든지, 최근 요로 쪽이나 부인과 쪽 시술을 받았던지, 큰 교통사고나 하복부 혹은 옆구리 같은 곳에 외상 입은 경험이 있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이런 경우는 혈뇨가 일시적으로 나타났다가 안 보일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이런 경우도 쉽게 생각하고 넘어가면 안 되고 계속적으로 혈노가 나오는지 추적 검사를 해야 합니다. 둘째로는 요로결석이나 요로감염입니다. 두 가지 모두 혈뇨의 흔한 원인 중 하나인데 둘 다 증상이 뚜렷한 편이라서 생각보다 쉽게 알 수 있습니다. 요로결석은 갑자기 생기는 극심한 옆구리 통증이 동반이 되고, 요로감염은 방광염이나 신우신염인데 소변증상 즉 소변이 자주 마렵다거나 소변을 누면 아프거나 잔뇨감이 남아 있을 수 있습니다. 또한 열이 나거나 이유 없이 옆구리가 아프거나 할 때는 방광염이나 신우신염 같은 요로감염의 가능성이 있습니다. 요로감염이나 요로결석은 좀 흔한 편인데 둘 다 전형적인 증상이 있습니다. 각각 물을 먹으며 경과를 관찰하고 쇄석술을 한다던가 항생제 등의 치료들을 하면 해결이 되는 편입니다. 셋째로는 첫 번째와 두 번째 이유를 제외한 경우입니다. 혈뇨라는 것은 아무 증상이 없고 발견됐을 때는 이미 심각한 질환이 진행된 경우가 많습니다. 보통 소변 검사로 알 수 있는 혈뇨, 단백뇨, 농뇨 이런 것들이 정말 많은 정보를 주기 때문에 소변 검사는 꼭 해야 합니다. 나이가 굉장히 중요합니다. 40세를 기준으로 40세 이전은 감염질환, 출혈질환, 자가면역질환, 요로기형 등의 병이 많습니다. 그런데 40세 이후로는 암일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나 40세 이상인데 흡연을 하는 남자인 경우 신장암, 방광암, 전립선암과 같은 암이 발견되는 경우가 너무 많습니다. 

소변검사 비용

우리나라 국가 검진에서 소변검사에서 단백뇨만 확인하게 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국가검진에서 진행한 소변검사에서 아무 이상이 없다라고 하는 것은 사실 단백질만 확인하는 것입니다. 그것도 현미경으로 보는 것이 아니고 육안으로 확인하는 겁니다. 그래서 만약 소변에서 거품이 많이 발생한다거나 붉은 소변이 나오는 경우 꼭 정기적으로 병원을 방문해서 소변 검사를 확인해야 합니다. 7가지를 보는 소변검사 비용은 환자 부담금이 300원 정도 합니다. 하지만 이것을 통해서 알아볼 수 있는 정보가 정말 많습니다. 소변 검사 하는 것을 귀찮아하거나 어색해하지 말고 정기적으로 하는 것이 좋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