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관리 꿀팁

스테로이드 주사의 효과와 부작용

by 대모리 2023. 4. 28.

코티솔이란?

스테로이드가 어떤 물질인지 알기 위해서는 우리 몸에서 나오는 '코티솔'이라는 호르몬에 대해서 알아야 합니다. 왜냐하면 스테로이드는 바로 이 코티솔을 인공적으로 합성해서 만든 것이기 때문입니다. 코티솔은 우리 몸 속 장기인 신장의 윗부분에 있는 부신에서 자연적으로 생성되는 호르몬으로 평상시에는 매일 조금씩 분비됩니다. 코티솔은 우리 몸이 에너지를 낼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합니다. 특히 아침에 눈을 뜨면 혈당과 혈압을 올려서 활동할 의욕이 생기게 만듭니다. 만일 코티솔이 정상적으로 분비되지 않는다면 아침에 일어나야 하는데 일어나기 힘들고 몸이 무겁고 활동할 의욕이 떨어지게 됩니다. 즉 코티솔은 아침이 되면 우리 몸에 있는 모든 영양소를 총동원하여 혈당을 올려서 활기차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호르몬입니다. 그런데 이 코티솔이 대량으로 분비 될때가 있습니다. 바로 스트레스 상황에 처해 있을 때입니다. 인류의 전쟁사를 보면 몇일 동안 밤을 새워가며 전쟁을 했다는 기록을 많이 볼 수 있습니다. 이게 바로 코티솔 때문입니다. 전쟁 등과 같은 스트레스 상황이 되면 코티솔이 대량으로 분비되면서 몇일동안 잠도 자지 않고 굶으면서도 싸울 수 있는 힘을 만들어 내는 것입니다. 현대인들도 마찬가지입니다. 많은 대중앞에서 중요한 프레젠테이션을 발표해야되거나 큰 시험을 앞두는 등 스트레스 상황에 직면하면 우리 몸은 이 스트레스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평소보다 더 많은 에너지를 필요로 하고 대량의 코티솔이 분비됩니다. 그래서 이 코티솔을 스트레스 호르몬이라고 부릅니다. 그런데 문제는 이 코티솔, 즉 스테로이드가 혈당과 혈압을 올리면서 동시에 당장의 스트레스 상황을 벗어나는데 급하지 않은 우리몸의 다른 기능들은 극도로 제한한다는 것입니다. 대표적으로 면역기능, 재생기능, 생식기능 등 우리 몸의 중요한 기능들을 최대한 억제시킵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스테로이드 효과도 생기고 부작용도 생기는 것입니다. 

효과

우리 몸의 면역 기능이 억제되면 모든 염증이 사라집니다. 면역 기능이 바로 염증 반응을 주관하기 때문입니다. 면역이 억제되면 이유를 불문하고 모든 염증이 가라앉습니다. 디스크는 염증때문에 통증을 유발합니다. 이때 스테로이드 주사를 염증이 생긴 신경근 주위에 맞으면 우리 몸에 면역기능이 억제되고 이에 따라 염증이 사라지고 통증도 줄어들게 되는 것입니다. 

부작용

먼역 기능이 억제된다면 당연히 감염위험이 증가하게 됩니다. 면역 기능이 억제되어 염증은 줄어들지만 우리 몸의 면역력까지 떨어지기 때문에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균 등 감염에 취약해집니다. 특히나 당뇨병 환자는 주의해야합니다. 당뇨병에 합병증을 유발하거나 악화시킬수 있기 때문입니다. 보통 스테로이드 주사를 맞은 후 혈당이 올랐다가 정상화 되는데 대략 일주일 정도 걸리기 때문에 의사는 이를 감안하여 당뇨병 환자에 상황에 따라서 주사맞는 주기를 신중하게 잘 조절해야 합니다. 또 재생기능이 최소환으로 억제되기 때문에 뼈, 힘줄, 인대, 연골, 피부 등이 약해지는 부작용이 나타납니다. 특히 뼈의 재생을 방해하면서 뼈가 약해지기 때문에 골다공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또한 힘줄이나 인대도 약해질 수 있는데 스테로이드를 많이 맞은 사람들을 수술할때 허리를 보면 힘줄과 인대가 삭아있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이뿐아니라 혈관재생을 억제하면서 대퇴골두무혈성괴사와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 피부의 재생과 증식이 억제되면서 콜라겐이 소모되고 피부가 얇아지게 됩니다. 이로 인해 멍이 쉽게 들고 모세혈관의 탄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안면홍조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또한 혈당을 올리기 위해 몸의 지방대사와 단백질대사에도 아주 깊숙히 관여합니다. 특히 지방대사와 관련하여 지방조직의 재분포가 일어나는데 보통 얼굴, 목뒤, 어깨, 복부, 내장지방 등 특정 부위에 지방이 쌓이는 지방침착이 일어납니다. 얼굴에 지방침착이 일어나 달처럼 동그랗게 되는 것을 '달덩이 얼굴'이라고 하는데 이는 부신에 문제가 생겨서 코티솔이 만성적으로 과다하게 분비될 때 생기는 쿠싱증후군과 똑같은 증상입니다. 쿠싱증후군은 고지혈증이나 인슐린 저항성 같은 대사질환과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