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흔히 음주를 하게 되면 체질에 다라서 한 잔을 먹어도 얼굴이 빨개지는 사람이 있고, 여러 잔을 먹어야 얼굴이 빨개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사람마다 술이 약해서 그렇다 혹은 아니다 간에서 오히려 해독이 잘돼서 그렇다 등 여러 가지 의견들이 있습니다. 그런데 사실 음주 후에 얼굴이 빨개지거나 얼굴이 오히려 하얘지는 것들은 오히려 나름의 이유가 있습니다. 술자리를 즐기는 분들에게 조금은 궁금증을 해소시킬 수 있는 그런 내용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얼굴이 붉게 변하는 이유
모든 사람은 술을 마시면 어느정도 얼굴이 붉어집니다. 이 얼굴이 붉어지는 현상은 '아시안 플러시 신드롬'이라고 불리는데 말 그대로 이제 아시아인들에게 ㅇ러굴이 붉어지는 현상이 많이 일어나기 때문에 붙은 이름입니다. 특히 한국이나 중국, 일본 같은 동아시아권 사람들에게서 매우 흔하고 인구의 70% 정도가 이 증상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술을 마시게 되면 온몸의 혈관이 일시적으로 확장되기 때문에 얼굴에도 혈액이 몰리면서 어느 정도 얼굴이 빨갛게 변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너무 새빨갛게 변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단순히 혈관 확장만이 원인으로 작용하는 것이 아닙니다. 여기서 많은 분들이 오해하는 것이 바로 간이 안 좋기 때문에 얼굴이 빨개진다고 생각하는 것입니다. 사실 얼굴이 붉어지는 것은 간에서도 간 안에 있는 알데하이드 분해 효소가 부족해서 그렇게 얼굴이 붉어지는 것이지 간 자체의 건강함과는 큰 관련이 없습니다. 알코올은 우리 몸에 들어가면 두 가지 변화를 겪게 됩니다. 먼저 간에서 알코올 탈수소효소에 의해서 아세트알데히드로 알코올이 분해가 되고 그 후에는 아세트알데히드 탈수효소에 의해서 아세트알데히드가 아세트산으로 바뀌게 됩니다. 술이라는 음식이 몸에 해로운 원인은 이 과정 중에 발생한 아세트알데히드가 몸에 독성물질로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이 아세트알데히드는 혈관을 더 확장시켜서 얼굴을 더 붉어지게 만들고 우리에게 메스꺼움을 느끼게 하거나 심해지면 구토와 두통까지 여러 가지 증상을 나타나게 합니다. 음주 후에 얼굴이 빨개지는 이유는 이 아세트알데히드를 분해시켜 줄 수 있는 아세트알데히드 탈수소효소가 부족하기 때문에 아세트알데히드가 몸에 오랫동안 남아 있습니다. 그래서 얼굴이 붉어지는 것입니다. 얼굴이 붉어지는 분들이 그렇지 않은 분과 비교했을 때 계속적으로 음주를 하게 될 경우, 심혈관 질환이나 대장암, 방광암 같은 여러 가지 암 종류의 발생 위험까지 올라가기 때문입니다.
얼굴이 하얗게 변하는 이유
얼굴이 하얗게 질리는 사람의 경우를 알아보겠습니다. '내가 얼굴이 빨개졌다가 해독이 돼서 하얘진다'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아닙니다. 이것은 부교감신경 때문입니다. 아세트알데히드 때문에 얼굴이 빨개지면 아세트알데히드의 독성 때문에 몸에서 엄청나게 자극이 일어나게 됩니다. 그래서 혈관이 이제 지나치게 확장이 되면 우리의 몸이 이러한 이상반응을 상쇄시키기 위해서 부교감신경을 활성화시킵니다. 그런 과정에서 혈관 이완 때문에 붉어졌던 얼굴이 혈관이 다시금 수축되면서 하얗게 질리게 되는 것입니다. 그리고 또 하얘졌다가 다시 또 빨개지는 경우는 우리 몸 속에 부교감신경과 교감신경의 균형이 왔다 갔다 하기 때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렇게 얼굴이 하얘졌다가 빨개졌다가 하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빨개졌다는 사실, 붉어졌다는 사실 자체가 아세트알데히드를 분해할 수 있는 효소가 부족하기 때문인데 부족한 상태에서 계속적으로 혈관이 확장되니까 그런 교감신경, 부교감신경들이 자극이 되면서 이러한 자율신경계의 안정성이 떨어지게 되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렇게 반복적으로 얼굴이 빨개졌다가 하얘진다면 계속 신경계의 교란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이 상태에서 술을 마시는 것은 절대적으로 금물입니다.
얼굴색이 하나 안변한다고 해서 간이 건강하다고 할 수 있을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그런 사람의 경우 간에 아세트알데히드를 분해하는 효소가 있을 뿐입니다.
그 외 다른 증상
술은 대표적인 1급 발암물질입니다. 몸 온 곳에 안 좋은 영향을 끼칩니다. 뇌신경세포를 억제하고 알코올성 치매를 유발하고 간 대사에 영향을 미치고 지방간을 만들어서 간염, 간경화, 간암까지 발생시키도 합니다. 미국의 한 연구에 따르면 음주 후에 얼굴이 붉어지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서 식도암 발생률이 6배~10배 정도 증가한다고 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대장암 발병률은 6배 정도 올라간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아세트알데히드를 분해하는 효소의 부족이 암의 발병률을 높이는 것뿐만 아니라 또 약영향을 끼치는 부분이 있습니다. 바로 고혈압과 류마티스성 관절염입니다. 선천적으로 아세트알데히드 효소가 부족한 사람들은 술로 인해서 고혈압이 걸릴 위험성도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국내의 한 대학병원 연구팀에서 176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1주일에 소주를 2병 이상 마시는 경우에 얼굴이 붉어지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를 비교했습니다. 얼굴이 붉어지는 사람에서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고혈압의 발생 확률이 1.5배나 증가했다는 결과가 있었습니다. 그리고 류마티스 관절염을 일으키는 류마티스 인자의 양성이 얼굴이 붉어진 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2~3배나 높다는 결과가 있습니다. 특히 일주일에 평균 음주량이 소주 2병을 초과하는 경우 이 류마티스 인자의 양성률이 같은 주량의 얼굴이 붉어지지 않는 사람에 비해서 2.8배가 높았다는 결과가 있습니다.
'건강 관리 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강식품 두부, 장점과 단점 (0) | 2023.05.04 |
---|---|
맛있는 마라탕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0) | 2023.05.03 |
몸에서 악취를 유발하는 질환 (0) | 2023.04.30 |
눈 밑 떨림 증상과 이유, 치료 방법 (0) | 2023.04.29 |
스테로이드 주사의 효과와 부작용 (0) | 2023.04.28 |
댓글